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 천안문 항쟁: 해방의 잠재력을 보여 준 위대한 민중 항쟁

    📲 노동자연대TV 기획 시리즈: 당신이 알아야 할 현대 중국의 모든 것 – 마르크스주의 관점 🎥 백지 시위를 이해하려면 꼭 알아야 할: 톈안먼 항쟁과 그 유산 🎥 덩샤오핑과 개혁·개방 🗞️[기사] 백지…

  • 서평 《알지 못하는 아이의 죽음》

    죽음의 일터로 내몰리는 특성화고 현장실습생들, 비극의 고리를 끊자

    연은정 오는 5월 28일은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가 사망한 김 군(당시 19세)이 사망한 지 5년이 되는 날이다. 당시 김 군은 안전 수칙에 따라 2인 1조 작업을 해야 했지만 서울메트로 원청과 하청은…

  • 조지 플로이드 사망 1주기를 추모하며

    흑인 민권 운동사를 생생히 다루는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

    나유정 2021년 5월 25일은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1주기다. 조지 플로이드는 지난해 5월 25일 미국 미네소타주(州)에서 경찰에게 체포되던 중 목이 짓눌려 질식사했다. 그는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범죄를 저질렀다는 의심을 받았다. 그가 경찰에게…

  • “연세대의 자랑” 한국어학당, 강사들은 월세 내기도 힘들다

    김태양  연세대 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강사들(무기계약직)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투쟁에 나섰다.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은 재외교포, 외국인학생, 선교사, 외교관과 대사관 직원 등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 곳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연세대를 비롯한…

  • 고 이선호 청년 노동자의 죽음

    문재인 정부 하에서 반복되는 제2의 김용균

    박혜신 청년 노동자가 또 사망했다. 23살 고(故) 이선호 씨는 군 제대 후 아버지가 일하는 평택항 컨테이너 하역장에서 아르바이트로 일하던 중 무게 300킬로그램 컨테이너 날개에 깔려 숨졌다. 그는 평택항에서 동식물 검역 일을…

  • 독재에 맞선 위대한 저항, 광주항쟁의 정신은 살아있다

    추천 글, 책

    올해는 광주항쟁 41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우리를 기억해 주십시오.” 마지막 선무방송대로 광주항쟁의 정신은 40년이 훌쩍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이어졌습니다. 당시 민중들은 전두환 군부의 퇴진과 계엄령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전두환의 계엄령 확대와 광주 학살은 박정희 사망 후 유신 체제의 붕괴를 비집고 폭발할 아래로부터의 저항을 잘라내려는 시도였습니다. 광주 민중은 전두환 독재에 맞서서 국가권력의 폭압에…

  • 20대 남성, 안티 페미니즘인가

    이현주 4월 7일 재보선 선거 이후,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정서 때문에” 민주당이 패배했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됐다. 국민의힘 전 최고의원 이준석이 “민주당이 여성주의 운동에만 ‘올인’한 결과” 20대 남성의 반발을 사 패배했다고…

  • 계급 불평등 키울 하위권 대학 퇴출

    김지윤 문재인 정부의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이하 진단평가)가 5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다. 진단평가는 박근혜 정부가 2015년에 첫 실시한 대학구조개혁평가의 이름과 일부 내용을 약간 바꾼 것이다. 교육부는 진단평가에 따라 대학들을 분류해 재정 지원의 수준을…

  •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 사고 35년

    ‘안전한 핵은 없다’를 보여 주는 드라마 <체르노빌>

    이재혁   빌 게이츠는 최근 자신의 신간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에서 핵에너지를 적극 옹호했습니다. 빌 게이츠 자신이 핵발전 기업의 창립자라서 그러는 것인지는 몰라도, 후쿠시마와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핵발전소 사고를 생각하면…

  • [
    서평
    《인간 섬: 장 지글러가 말하는 유럽의 난민 이야기》

    난민을 사지로 몰아넣는 유럽 국경 봉쇄의 현실을 고발하다

    양선경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2019년 말 세계 실향민은 7950만 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1퍼센트를 차지하고,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이며 2010년의 두 배에 달한다. 2018년 한국에도 예멘 난민 500여 명이 들어왔고, 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