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 세월호 참사 1주기 집회 관련 재판

    정부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나는 겁먹지 않았다

    [<노동자 연대> 기사 공유 : http://wspaper.org/article/16938] 박규경 (강원대학교 학생) 형법 185조는 “육로, 수로 또는 교량을 손괴 또는 불통하게 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교통을 방해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 체제를 끝장내야 전쟁을 없앨 수 있다는 주장의 현실성

    [<노동자 연대>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930] 김동욱 어머니와 정치 토론을 자주 나누는 편이다. 얼마 전에도 북한 로켓 발사에 대해 어떻게 봐야 하느냐고 물어보셔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동아시아에서 점증하는 제국주의 갈등 문제까지 주제가…

  • 서평 《만화로 보는 마르크스의 자본론》

    마르크스의 혁명적 경제사상에 대한 생생하고 친절한 가이드

    [<노동자 연대> 기사 온라인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843] 김종현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경제 위기와 관련해서 이름난 경제학자인 누리엘 루비니는 ‘마르크스가 옳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처럼…

  • 서평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왜 사회는 여성을 ‘여성성’에 욱여넣으려 할까?

    [<노동자 연대> 기사 온라인 링크: http://wspaper.org/article/16851] 양효영 (대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는 나이지리아 출신의 유명한 여성 소설가인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가 인터넷 강의(TED)에서 한 연설 내용을 다듬은…

  • 박근혜 정부의 대학구조개혁은 청년실업의 대안이 아니다

    박한솔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1월 19일 교육부가 ‘2016년 업무보고’를 발표했다. 박근혜 정부의 교육개혁의 핵심은 “산업수요 맞춤형”으로 대학을 재편하겠다는 것이다. 그 내용 중 하나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정원 축소다. 2022년까지…

  •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구조조정 시도를 막아 내다

    오선희 (인하대 학생) [<노동자 연대>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666] 지난달 중순 인하대학교 문과대 교수회가 최순자 인하대 총장이 계획하고 있는 대대적인 학과 구조조정을 폭로했다. 문과대 9개 학과 중 사학·중국언어문화학·한국어문학 등 3개 학과만을…

  • 프랑스에서 파시스트에 맞서 우파에게 투표해야 하나요?

    [<노동자 연대> 기사 링크 공유 : http://wspaper.org/article/16650] 김종현 최근 데이브 수얼이 쓴 프랑스 지방선거 관련 기사들을 잘 읽었습니다. 많은 사실을 배울 수 있었고, 현재 프랑스 좌파들의 태도에 대한 비판에도 크게…

  • 서평 《선한 분노 ― 자본에 저항하는 불온한 사랑》

    급진화하는 청년들의 ‘선한 분노’가 잠재력을 발휘하려면

    [<노동자 연대> 온라인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618] 양효영 (대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올초 세월호 참사 1주기에 맞춰 나온 《선한 분노》는 ‘자본에 저항하는 불온한 사랑’이라는 부제처럼 자본주의의 불의를 통렬하게 고발한다. 오늘날…

  • 서평 《숫자는 어떻게 세상을 지배하는가》

    수치에 관해 묻기도 따지기도 해야 하는 이유

    [<노동자 연대> 온라인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601 ] 김종현(대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정부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경제 효과’ 운운하고, 보수언론은 기업주들이 요구하는 친기업적 경제 정책의 기대효과를 떠들어 댄다. FTA가 체결되거나 할 때도…

  •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협정 개정이 아니라, 핵발전부터 포기해야 한다

    [<노동자 연대> 온라인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594 ] 김승주 42년 만에 개정된 한미 원자력협정(이하 신협정)이 지난 11월 25일 공식 발효됐다. 한국 지배자들은 이번 개정에서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연구에 관한 부분적인 자율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