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 김초원·이지혜 기간제 교사 순직 인정

    그들도 제자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내던진 선생님이었다

    http://wspaper.org/article/17462 김승주 (대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세월호 참사 당시 희생됐지만 순직 인정을 받지 못한 단원고 기간제 교사 유가족이 순직 인정 요구 소송을 시작했다. 정부는 2014년 7월 순직 인정을 받은 정규직…

  • 단원고 기억교실은 원형 보존돼야 한다

    http://wspaper.org/article/17460 김승주 (대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세월호 참사로 죽은 단원고 학생 2백50여 명이 공부했던 2학년 교실, 우리는 이를 ‘기억교실’(교실 10개와 교무실 1개)이라고 부른다. 참사 이후 이 공간은 희생 학생들의 유품과…

  • 《돈이 왕이로소이다

    마르크스와의 인터뷰》 “오늘날의 자본주의 세계를 해부하는 마르크스의 생생한 육성!”

    http://wspaper.org/article/17436 김종현 마르크스의 사상에 대한 입문서의 수가 적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그 중에 정말 괜찮은 것을 꼽으라면 의외로 많지 않다. 아직도 시중에 나오는 몇몇 개설서들은 마르크스주의를 스탈린주의적으로 변형한 해석을…

  • 허울뿐인 ‘반값등록금’조차 아까운 박근혜 정부에 맞서 ‘파이팅’해야 한다

    김동욱 (서울교대 학생) <노동자 연대> 177호 http://wspaper.org/article/17401 내가 다니는 학교 교수(서울교대 체육교육과)이기도 한 안양옥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이 7월 4일 기자 간담회에서 대학생들은 “빚이 있어야 파이팅을 한다”고 말했다. 대학생들이 처한 현실을 얼마나 모르는…

  • 총신대 당국은

    성소수자 인권모임 ‘깡총깡총’에 대한 박해 중단하라

    http://wspaper.org/article/17383 양효영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6월 11일 퀴어퍼레이드(성소수자 자긍심 행진)에 총신대학교 성소수자 인권모임 ‘깡총깡총’의 깃발이 휘날렸다. 총신대학교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소속으로 자타공인 한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신학 대학이다. 학교 당국은 동성애도 ‘죄’로…

  • 마르크스주의와 소외

    http://wspaper.org/article/17380 김승주 (대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얼마 전 강남역 근처에서 벌어진 살인 사건은 큰 충격을 줬다. 이런 끔찍한 범죄가 벌어질 때마다 경찰과 언론은 선정적 발표들로 대중의 공포를 부추기지만 문제의 진정한…

  • 세월호 특조위 강제해산 저지 국민촛불

    “정말 기뻐해야 할 ‘그날’까지 함께 갑시다”

    http://wspaper.org/article/17361 오선희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6월 27일 ‘세월호 특조위 강제 해산 저지 국민촛불’이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렸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특조위 강제종료 저지! 세월호의 온전한 인양! 진상규명 특별법 개정 촉구!’를 요구하며 농성을…

  • 세월호 농성장 침탈 규탄 집회

    “노란 리본에 찍힌 발자국을 잊지 말자. 더 질기게 싸우자!”

    http://wspaper.org/article/17358 양효영 세월호 유가족들은 6월 25일 밤부터 특조위 강제 종료 중단, 세월호 온전한 인양, 특별법 개정을 요구하며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농성에 들어갔다. 그런데 농성 단 이틀 만인 6월 26일 오후 2시…

  •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향한 염원이 여전함을 확인하다

    포항에서 진행한 세월호 특별법 개정 서명운동 후기

    http://wspaper.org/article/17301 석중완 포항에서 5월 30일부터 6월 5일까지 일주일간 세월호 특별법 개정 집중서명과 리본나눔을 진행했다. 5.28 전국교사대회와 광화문 촛불 문화제가 끝난 다음 날 아침에, 갑자기 포항에서 집중서명을 해야겠다고 충동적으로 이끌렸다. 별…

  • 강제 종료 위기에 처한 세월호 특조위

    아직 밝혀야 할 진실들이 많다

    http://wspaper.org/article/17278 김승주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활동가)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이하 특조위)가 실질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지 9개월 남짓한 시간이 흘렀다. 유가족들은 특조위가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 운동의 손과 발이 되길 바라며 특조위 활동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