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 노근리 민간인 학살이 보여주는 전쟁의 진짜 얼굴
    [
    영화평
    〈작은 연못〉(2009)

    노근리 민간인 학살이 보여주는 전쟁의 진짜 얼굴

    오수진 ※ 역사를 다룬 영화평이기에 일부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14년 전 개봉한 <작은 연못>은 노근리 민간인 학살 사건을 다룬 최초의 영화로, 평범한 마을 사람들의 관점에서 당시의 비극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노근리…

  • 한국전쟁, 제국주의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 벌인 힘 대결
    정전협정 70주년

    한국전쟁, 제국주의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 벌인 힘 대결

    정전협정 70주년: 한국전쟁, 제국주의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 벌인 힘 대결 올해는 정전 70주년입니다. 70년이 지났지만, 한국전쟁은 단지 지나간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실 정치 쟁점이기도 합니다. 예컨대 젤렌스키는…

  • 한국전쟁은 무엇을 위한 전쟁이었나?
    한국전쟁 73주년

    한국전쟁은 무엇을 위한 전쟁이었나?

    📌한국전쟁 70주년① 무엇을 위한 전쟁이었나 📌한국전쟁 70주년② 전쟁이 남긴 결과들 📌[시사/이슈 톡톡] 우크라이나 전쟁 — 성격과 논쟁점 올해 6월 25일은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73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흔히 한국전쟁은 소련 스탈린의 지시를…

  • 군사독재를 물러서게 한 거대한 대중 반란
    1987년 6월 항쟁

    군사독재를 물러서게 한 거대한 대중 반란

    📲 엉망진창 세상을 생생히 폭로하는 책과 영화: 한국현대사 📰 항쟁에 참가한 사회주의자에게서 듣는 1987년 6월 항쟁: “6월 항쟁은 우리의 역사로 삼아야 할 위대한 계급의 기억” 1987년 6월항쟁 36주년입니다. 전두환은 1980년…

  • 민중이 혁명으로 독재자를 몰아내다.
    1960년 4월혁명

    민중이 혁명으로 독재자를 몰아내다.

    내일은 4월혁명 기념일입니다. 민중이 혁명으로 독재자를 끌어내린 역사적 사건입니다. 📲[추천기사] 1960년 4월혁명 60주년: 민중이 혁명으로 독재자를 몰아내다 📚[추천 책] 《최근 한국 현대사》 이승만은 해방 이후 미국의 도움을 받아 대중을 끔찍하게…

  • 참사는 왜 일어났고 반복되고 있는가
    세월호 참사 9주기

    참사는 왜 일어났고 반복되고 있는가

    양선경(안산 출신 ‘세월호 세대’ 대학생) 2014년 4월 16일. 당시 우리는 등교하자마자 학교에 휴대폰을 내야 해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가 없었다. 그런데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실에서 수업을 마친 다른 반 친구들이 울면서…

  • 한국현대사
    엉망진창 세상을 생생히 폭로하는 책과 영화

    한국현대사

    한국 현대사를 찬찬히 살펴 보면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현실을 바꾸는 데 필요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죠. 한국 현대사 초심자들에게 추천하는 책과 영상들입니다. 책 《100℃》…

  • [조사] 연세대에서 활동하며 느꼈던 故 배은심 어머님의 숨결

    오제하  연세대학교 학생 2016년 말 시작된 박근혜 퇴진 촛불 운동 때, 배은심 어머님은 광화문 광장에서 발언을 하셨다. 당시에 어머님은 이미 70대 중반이셨는데, 쩌렁쩌렁한 기운으로 광화문 광장을 뒤흔드셔서 정말 경이롭다고 느꼈던…

  • [
    영화평
    〈태일이〉

    전태일의 치열한 삶과 희생이 남긴 희망의 메시지

    김태양 오는 12월 1일 애니메이션 영화 〈태일이〉가 개봉한다. 나는 지난 11일 시사회에 참석해 이 영화를 일찍 볼 수 있었다. 어렸을 때 종종 가던 도서관의 어린이 코너에는 최호철 작가의 만화 《태일이》가 꽂혀…

  • 독재에 맞선 위대한 저항, 광주항쟁의 정신은 살아있다

    추천 글, 책

    올해는 광주항쟁 41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우리를 기억해 주십시오.” 마지막 선무방송대로 광주항쟁의 정신은 40년이 훌쩍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이어졌습니다. 당시 민중들은 전두환 군부의 퇴진과 계엄령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전두환의 계엄령 확대와 광주 학살은 박정희 사망 후 유신 체제의 붕괴를 비집고 폭발할 아래로부터의 저항을 잘라내려는 시도였습니다. 광주 민중은 전두환 독재에 맞서서 국가권력의 폭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