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 6월항쟁

    군사독재를 물러서게 한 위대한 대중항쟁

    추천 글, 책, 영화

    오늘은 1987년 6월항쟁 34주년입니다. 6월 항쟁의 직접적인 계기는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이지만 6월항쟁은 어느 날 갑자기 분출한 항쟁은 아니었습니다. 6월 항쟁은 그 전의 크고 작은 투쟁들이 누적돼 온 결과였습니다. 1980년…

  • 독재에 맞선 위대한 저항, 광주항쟁의 정신은 살아있다

    추천 글, 책

    올해는 광주항쟁 41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우리를 기억해 주십시오.” 마지막 선무방송대로 광주항쟁의 정신은 40년이 훌쩍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이어졌습니다. 당시 민중들은 전두환 군부의 퇴진과 계엄령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전두환의 계엄령 확대와 광주 학살은 박정희 사망 후 유신 체제의 붕괴를 비집고 폭발할 아래로부터의 저항을 잘라내려는 시도였습니다. 광주 민중은 전두환 독재에 맞서서 국가권력의 폭압에…

  • 세월호 7주기, 끝나지 않은 싸움을 이어 가야 할 때
    [영화평] 〈당신의 사월〉(주현숙 감독, 2021)

    세월호 7주기, 끝나지 않은 싸움을 이어 가야 할 때

    박혜신 오는 4월 16일이면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지 7년이 된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현재 진행형인 과제이다. 올해 1월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참사 책임 은폐 시도에…

  • [
    추천 소책자
    《위안부 문제는 왜 해결되지 않을까?》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과 실천적 대안을 모색한다면 필독

    강미령(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위안부 판결 곤혹스럽다.” 지난 1월 8일 고 배춘희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12인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하자 이를 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한 말이다. 집권…

  • 추천 책 《최근 한국 현대사》

    한국 사회가 왜 이렇게 됐냐고? 궁금한 청년들 주목!

    이재혁(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오늘날 한국 사회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됐는지, 그 이유를 알고자 하는 청년・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 나왔습니다. 해방부터 코로나19까지, 착취와 차별에 맞서 싸운 역사를 담은 ⟪최근 한국…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 또 모욕한 우익 학자 류석춘

    김태양 (연세대학교 학생) 연세대 사회학과 류석춘 교수(이하 존칭 생략)가 일본 극우 잡지에 일본군 ‘위안부’를 모욕하는 글을 기고한 사실이 6월 26일 밝혀졌다. 그는 ‘위안부’가 ‘강제로 연행당한 결과가 아니라, 민간의 매춘업자에게 취업사기를…

  • [
    카드뉴스
    2004년을 보면 2020년이 보인다?

    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은 어떻게 배신했는가

    [카드뉴스] 2004년을 보면 2020년이 보인다? 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은 어떻게 배신했는가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180석을 얻고 ‘슈퍼 여당’이 됐죠. 민주당은 16년 전 열린우리당 시절에도 국회 과반의석을 차지하고 다수 여당이 된 적이 있습니다.…

  • 세월호 참사

    과거 민주당 정부들은 좀 달랐을까?

    김승주  204호  2018-01-02 이 기사를 읽기 전에 “박근혜, 황교안, 우병우, 김기춘, 해수부와 해경 지휘부…: 세월호 참사 책임자 처벌이 정의 실현의 시작”을 읽으시오. 기업의 고삐 풀린 이윤 추구, 그것을 적극 뒷받침한 정부 정책, 뒷전으로…

  • [
    영화평

    새 세대도 1987년 저항의 힘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영화 〈1987〉

    박혜신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234호   2017-12-28 “평범한 시민들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도저히 참지 못해, 30년 만에 또다시 일어나 제2의 6월 항쟁을 일으키고 있단다. “종철아, 네가 살아 있다면 여기서 다시 소리칠 거야, 그렇지? 되살아난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