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노동자들의 삶과 투쟁

  • 고 김용균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 2주기

    오늘도 6명의 노동자가 산재로 스러진다

    약속 안 지키는 문재인 정부, 이윤이 우선인 비정한 자본주의

    박혜신(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오늘은 다치지 말아야지’, ‘죽더라도 보이는 곳에서 죽어야지’. 2년 전 세상을 떠난 고 김용균 노동자의 동료들은 여전히 출근할 때마다 퇴근할 수 있기를 기도한다. 24살 청년 김용균은 공기업…

  • 서울대 당국, 시흥캠 반대 학생들에 보복 소송

    본관 점거 농성 학생들에 대한 손배 철회하라

    박혜신(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11월 26일 서울대 행정관 앞에서 서울대 당국의 학생들에 대한 보복성 손해배상 소송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번 기자회견은 서울대 학내 단체 총 28곳과 전국교수노조, 한국비정규교수노조, 전국대학노조, 공공운수노조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

  • 추천 신간 《여기는 기계의 도시란다》

    시로 쓴 네팔 이주노동자들의 삶과 애환

    양선경(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여기는 기계의 도시란다》(빠라짓 뽀무 외 지음, 이기주 옮김, 삶창, 260쪽, 12000원)는 네팔 이주노동자 서른다섯 명이 쓴 시를 번역한 시집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이 시집에는 노동자로서 한국에서 사는 삶의…

  • 인권위, 시흥캠 항의 점거 폭력 해산한 서울대 당국의 “인권침해” 인정

    서울대 당국은 적반하장식 손해배상 청구 말라

    박혜신(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시흥캠퍼스 건설에 반대해 학교 본관을 점거했을 당시 학교 당국이 자행한 강제해산은 “인권침해”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의 권고안이 나왔다. 박근혜 퇴진 운동이 한창이던 2016년, 서울대 학생들은 학교 본관을 점거했다. 서울대 당국이…

  • 서울대 청소 노동자 사망 1주기 집회

    노동자의 죽음 부른 불평등과 차별을 규탄하다

    이시헌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서울대 학생 서울대 청소 노동자 사망 1주기 집회에 궂은 날씨에도 100여 명이 넘게 모였다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 제공 지난해 8월 9일 서울대 청소 노동자가 찜통 같은…

  • [
    카드뉴스

    경제 위기와 악화되는 노동자들의 처지

    얼마전 IMF는 세계 경제가 1930년대 이래 최악의 침체에 빠질 거라 전망한 바 있습니다. 위기가 심화하면서 노동자・서민들의 고통이 날로 커지고 있고, 일자리 지키기와 소득 지원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5차비상경제회의에서…

  • 기간제 교사

    대법원은 세월호 희생 기간제 교사 유가족 요구 인정하라

    연은정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사범대 학생 고 김초원 교사가 담임으로 학생들과 시간을 보낸 단원고 2학년 3반 교실 ⓒ이미진 세월호 참사 6주기가 다가오고 있다. 세월호 참사는 체제의 이윤 논리가 만들어낸 인재(人災)였다.…

  • [
    홍익대

    장시간 밤샘 근무로 사망한 경비 노동자 산재 인정

    경비 인력 충원하라

    2월 28일, 지난해 4월 출근길에 쓰러져 안타깝게 사망한 홍익대학교 경비 노동자 고 선희남 씨의 산재가 인정됐다. 그동안 학내 간접고용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산재를 인정받기가 얼마나 어려웠던지,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홍익대분회(이하 홍익대분회)가 만들어진…

  • 연세대학교 청소·경비 비정규직 투쟁

    노동강도 크게 높이는 인력 감축 철회하라

    김태양 연세대학교 청소·경비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인력 감축에 항의해 투쟁하고 있다. 그간 연세대 당국은 정년 퇴직자 자리를 충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야금야금 청소·경비 인력을 감축해 왔다. 올해 연세대에서는 청소 노동자 10명, 경비…

  • 영화 〈미안해요, 리키〉(켄 로치, 2019)를 강력 추천하는 이유

    이재혁 2019년에는 계급과 체제에 대한 영화 두 편이 많은 관심을 받았다. 자본주의 계급 격차를 짜임새 있게 그려낸 ‘기생충’은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그리고 베니스 영화제는 자본주의 체제 때문에 뒤틀려 버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