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과 성소수자 해방을 꿈꾸는 청년학생들에게 오늘날 차별의 현실과 그 원인을 짚고 운동 내 여러 논쟁에 명쾌하게 답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책과 영화를 추천합니다. 여성 차별 책 《멈춰 선 여성해방: 150년간 여성과…
인종차별은 단지 옛일이 아닙니다. 미국만 해도 여전히 많은 흑인과 히스패닉이 각종 편견에 시달릴 뿐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고통도 받고 있습니다. 미국 등 서방은 중동 침략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려고 이슬람 혐오와 무슬림 차별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지하철 탑승 시위가 1년 넘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정부와 우파는 장애인들의 절실한 요구는 외면한 채 “불법” 딱지를 붙여 비난하고 있죠. 오늘날 장애인들이 처한 현실과 이들이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를…
? 이번 추석은 노동자연대 학생그룹이 추천하는 아프가니스탄 난민 쟁점 관련 영화, 책과 함께 보내면 어떨까요? ? [독자편지] 영화평 〈사마에게〉: 시리아 여성 혁명가가 담아낸 전쟁의 민낯 ? 영화평 〈가버나움〉: 난민 소년의…
양선경 미국에서는 지난해 경찰의 흑인 살해에 대한 분노가 대중 시위로 표출됐다. 미국 인구 중 백인이 76퍼센트인데 2019년 경찰의 총에 사망한 사람들 중 절반 이상이 흑인과 히스패닉이었다.(출처: statista.com) 미국 비영리 단체…
나유정(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한국에는 미등록 이주민이 약 40만 명 있고, 그중 약 2만 명이 미등록 이주 아동이라고 추산한다. ‘미등록 이주 아동’이라는 말은 ‘이주 노동자’, ‘난민’이라는 단어에 비해 생소할 수 있다.…
1969년 6월 28일, 경찰이 뉴욕의 ‘스톤월 인’이라는 성소수자들의 술집에 쳐들어와 손님들과 종업원을 체포하려 했습니다. 1960년대 후반까지도 미국의 동성애자들은 공공연한 탄압에 시달렸습니다. 동성애는 비정상이나 정신병으로 취급 받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불법’이었기 때문에…
양선경 6월 20일은 세계 난민의 날이다. 올해는 시리아 혁명과 내전이 시작된 지 1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내 친구 압둘와합을 소개합니다》(김혜진 지음, 원더박스, 312쪽, 14800원)는 저자가 시리아 출신 난민 압둘 와합…
나유정 2021년 5월 25일은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1주기다. 조지 플로이드는 지난해 5월 25일 미국 미네소타주(州)에서 경찰에게 체포되던 중 목이 짓눌려 질식사했다. 그는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범죄를 저질렀다는 의심을 받았다. 그가 경찰에게…
이현주 4월 7일 재보선 선거 이후, “20대 남성의 반페미니즘 정서 때문에” 민주당이 패배했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됐다. 국민의힘 전 최고의원 이준석이 “민주당이 여성주의 운동에만 ‘올인’한 결과” 20대 남성의 반발을 사 패배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