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혁(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1848년 유럽 곳곳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나폴리, 베를린, 파리, 부다페스트 등에서 억압과 착취에 맞선 반란이 터져 나왔다. 그 즈음 자본주의 시대에 가장 중요한 문서가 될 소책자가 출판됐다. 바로…
나유정(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사회주의보다는 그래도 개인의 자유를 어느 정도 허용하는 자본주의가 그나마 낫지 않을까? (물론 극소수가 대부분의 부를 갖는 자본주의도 별로지만)” “사회주의는 북한이나 소련 같은 억압적이고…
양선경(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여기는 기계의 도시란다》(빠라짓 뽀무 외 지음, 이기주 옮김, 삶창, 260쪽, 12000원)는 네팔 이주노동자 서른다섯 명이 쓴 시를 번역한 시집이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이 시집에는 노동자로서 한국에서 사는 삶의…
연은정(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10월 26일 21대 국회 국정감사가 끝났다. 올해 국감에서도 어김없이 사학비리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특히 올해는 개교 이래 종합감사를 받지 않은 대규모 사립대학 16곳(재학생 수 6000명 이상)에 대한…
박혜신(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시흥캠퍼스 건설에 반대해 학교 본관을 점거했을 당시 학교 당국이 자행한 강제해산은 “인권침해”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의 권고안이 나왔다. 박근혜 퇴진 운동이 한창이던 2016년, 서울대 학생들은 학교 본관을 점거했다. 서울대 당국이…
박혜신(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교육부가 ‘OECD 교육 지표 2020’의 주요 지표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 결과를 보면, 한국 정부의 교육재정 지원은 정말이지 형편없다. 2017년 기준 한국의 전체 공교육비 중 정부 부담 비율은 GDP…
이지원(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형법상 낙태죄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이 있기 전까지 한국에서 낙태는 형법상 ‘죄’였다. 극히 제한적 사유로만 합법적 시술이 가능했고, 그 외의 낙태 시술을…
유나연(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운동이 미국 전역을 강타하고 있다. 이 시위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나라로도 번졌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 운동의 계기였던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이재혁(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오늘날 한국 사회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됐는지, 그 이유를 알고자 하는 청년・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 나왔습니다. 해방부터 코로나19까지, 착취와 차별에 맞서 싸운 역사를 담은 ⟪최근 한국…
유나연(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요즘 뉴스만 보면 정신이 혼란스럽습니다. 이럴 때에 읽기 좋은 책을 소개합니다. 리오 휴버먼이 쓴 《가자, 아메리카로》(비봉출판사, 2005) 라는 책입니다. 저자 리오 휴버먼은 미국의 사회주의 저널리스트이자 노동운동가로 《자본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