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학생 기고글

  • 독재에 맞선 위대한 저항, 광주항쟁의 정신은 살아있다

    추천 글, 책

    올해는 광주항쟁 41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우리를 기억해 주십시오.” 마지막 선무방송대로 광주항쟁의 정신은 40년이 훌쩍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이어졌습니다. 당시 민중들은 전두환 군부의 퇴진과 계엄령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전두환의 계엄령 확대와 광주 학살은 박정희 사망 후 유신 체제의 붕괴를 비집고 폭발할 아래로부터의 저항을 잘라내려는 시도였습니다. 광주 민중은 전두환 독재에 맞서서 국가권력의 폭압에…

  •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 사고 35년

    ‘안전한 핵은 없다’를 보여 주는 드라마 <체르노빌>

    이재혁   빌 게이츠는 최근 자신의 신간 《빌 게이츠, 기후재앙을 피하는 법》에서 핵에너지를 적극 옹호했습니다. 빌 게이츠 자신이 핵발전 기업의 창립자라서 그러는 것인지는 몰라도, 후쿠시마와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핵발전소 사고를 생각하면…

  • [
    서평
    《인간 섬: 장 지글러가 말하는 유럽의 난민 이야기》

    난민을 사지로 몰아넣는 유럽 국경 봉쇄의 현실을 고발하다

    양선경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2019년 말 세계 실향민은 7950만 명으로 전 세계 인구의 1퍼센트를 차지하고, 이는 사상 최대 규모이며 2010년의 두 배에 달한다. 2018년 한국에도 예멘 난민 500여 명이 들어왔고, 난민…

  • [
    처음 만나는 고전
    《주택문제에 대하여》

    ‘지옥고’는 왜 이토록 해결되지 않을까?

    임재경 코로나19 팬데믹과 경제 위기로 노동자들의 삶은 팍팍해지고 있지만, 주택 가격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고 있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부패 문제는 평생을 일해도 집 한 채 갖기 어려운 노동자나, 지하방·옥탑방·고시원,…

  • 4·7 재보궐선거 이후

    청년들의 정부·여당에 대한 불신·배신감이 보수화를 뜻하는가?

    박혜신 ‘대선 전초전’이라고도 불렸던 4월 7일 재보궐 선거의 결과는 정부·여당 심판이었다. 개혁 염원·약속을 배신하고 기만해 온 데에 대한 누적된 불만 속에 이미 정부 지지율은 추락하고 있었다. 선거 결과를 둘러싸고 다양한 버전의…

  • 적립금 7500억 원 넘는데도

    경비 노동자 줄이고 시급 130원도 못 올리겠다는 홍익대 당국

    김지은  홍익대학교 학생,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4월 15일 홍익대학교 정문 앞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집중집회가 열렸다. 홍익대 청소·경비 노동자들을 비롯한 연세대, 이화여대 등 민주노총 공공운소노조 서울지부 노동자들과 홍익대 학생들, 정의당과 진보당의…

  • 수천억 적립금 쌓아놓고

    인력 감축, 임금 동결하려는 연세대 당국

    임재경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연세대 학생 연세대 청소경비 노동자들이 집단교섭 승리 집중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임재경 4월 8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는 연세대학교 학생회관 앞에서 집단교섭 승리 집중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 ‘학교부터 노동교육 운동본부’ 발족

    “학교 정규 수업에서 ‘노동교육’ 실시해야 한다”

    중・고등학교 정규 과정에 ‘노동인권’ 교육이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하는 ‘학교부터 노동교육 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가 발족했다(사진_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 페이스북). 4월 12일 운동본부는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발족을 알렸다. 운동본부에는 민주노총, 전교조, 한국YMCA, 특성화고등학생…

  • 세월호 참사 7주기 추천 책

    《세월호 참사, 자본주의와 국가를 묻다: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세월호 참사 7주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은폐하고 유가족과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을 탄압한 박근혜 정부에 대한 사람들의 분노는 거대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인정하지 않았지만, 사람들의 마음 속에 세월호 참사는 박근혜…

  • 세월호 7주기, 끝나지 않은 싸움을 이어 가야 할 때
    [영화평] 〈당신의 사월〉(주현숙 감독, 2021)

    세월호 7주기, 끝나지 않은 싸움을 이어 가야 할 때

    박혜신 오는 4월 16일이면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지 7년이 된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은 현재 진행형인 과제이다. 올해 1월 세월호 참사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참사 책임 은폐 시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