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경제위기, 계속되는 여성차별, 심각한 기후위기, 팬데믹 위기, 그리고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우리는 단연코 위기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런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며 위기의 원인이 궁금하고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면 이제, 마르크스주의를 만날…
임재경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자산은 각각 15조 4000억 원, 13조 9000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최저 시급을 받는 노동자가 365일 8시간씩 52만 년을 일해야 벌 수 있는 돈이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 위기, 경제 위기로 인해 더욱 극심해진 불평등,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온갖 차별, 지구 곳곳에서 끊이지 않는 전쟁 등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지금의 시스템에 의문을 갖게 됐습니다. 그중에는…
세월호 참사 7주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은폐하고 유가족과 세월호 참사 항의 운동을 탄압한 박근혜 정부에 대한 사람들의 분노는 거대했습니다. 헌법재판소는 인정하지 않았지만, 사람들의 마음 속에 세월호 참사는 박근혜…
김태양(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리오 휴버먼, 책벌레, 2000)는 1936년에 처음 쓰여진 책이다. 85년 전에 쓰여진 책이 오늘날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가 수많은 심각한 문제들로 가득차…
김지은(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오늘날 자본주의의 위기는 심화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약 230만 명의 사람들이 사망했다! 세계경제의 심각한 위기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빚을 지고, 집에서 쫓겨나고 있다. 기후 위기 탓에 미국,…
신정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올해는 엥겔스 탄생 200주년입니다. 마르크스의 절친한 친구이자 동료였던 엥겔스는 마르크스와 함께 행동하며 오늘날에도 유효한 혁명적 사상을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여성 차별과 계급, 국가의 기원을 다룬 《가족, 사유재산,…
이재혁(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1848년 유럽 곳곳에서 혁명이 일어났다. 나폴리, 베를린, 파리, 부다페스트 등에서 억압과 착취에 맞선 반란이 터져 나왔다. 그 즈음 자본주의 시대에 가장 중요한 문서가 될 소책자가 출판됐다. 바로…
나유정(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사회주의보다는 그래도 개인의 자유를 어느 정도 허용하는 자본주의가 그나마 낫지 않을까? (물론 극소수가 대부분의 부를 갖는 자본주의도 별로지만)” “사회주의는 북한이나 소련 같은 억압적이고…
이은혜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민중이 사회를 통제한다고? 그것도 결국엔 권력 아닌가요? 저는 모든 권력에 반대하는데요.” “노동자들이 임금을 많이 받고 소수자들이 차별받지 않으려면 어쨌든 국가가 필요하지 않나요? 사회적 문제들은 진보적인 정치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