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9일 오전 9시 3분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 비행기가 대형 참사를 만나고 말았다. 이루 말할 수 없이 참혹하다. 행복한 연말 여행을 뒤로하고 새로운 한 해를 꿈꾸며 귀국 중이었을 사람들의 사망을 깊이 애도한다. 유가족들에게도 깊은 위로를 보낸다.
사고의 주된 원인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새떼가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고장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는 증언들이 많지만 이조차 확인된 건 아니다.
동체 착륙은 조종사가 위급 상황에서 대형 참사를 피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선택할 수 있는 비상 착륙 방법이다. 성공한 사례도 여럿 있어 그게 원인이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에서 동체 착륙 시도는 문제가 없었으나 랜딩기어 외에 작동해야 했던 다른 여러 제동 장치들
이는 양쪽 엔진과 유압 장치가 모두 작동하지 않았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신자유주의 항공 산업
그러나 이와 관련해, 이 비행기가 빈번한 안전사고로 악명 높은 미국 보잉사의 737계열 기종
또한 보잉 737 기종에는 착륙시 사고를 대비하기 위해 남은 연료를 버리는 기능도 비용 절감을 이유로 제외됐다. 이번 참사에서도 착륙 전에 연료를 버릴 수만 있었어도 화재 피해를 줄였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
보잉 737-800기종은 특히 저가 항공사들 사이에서 선호된다. 737 기종은 출시 당시 조종실 인원이나 엔진 개수를 줄이는 등 가격을 낮춰 항공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런 비용 절감 압력, 이윤 우선 시스템은 각 항공사가 안전 투자를 경시하는 것으로 이어지기 쉽다. 실제로 이번에 사고가 난 비행기는 사고 이틀 전 이륙 직전에 여러 차례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해 한 시간이 지연된 바가 있었다는 증언이 있다.
지난 2월 직장인들의 익명 커뮤니티
또 다른 글에서 한 제주항공 정비사는 제주항공 비행기는
지난해 12월 23일 제주항공의 보잉기 737-800기종인 101편이 이륙 후 40여 분 만에 여압 장치
심지어 참사 이튿날 오전에도 김포공항에서 출발한 같은 기종의 제주행 제주항공 7C101편이 이륙 직후 랜딩기어 이상이 발견돼 급히 회항하는 일이 벌어졌다.
신자유주의적 정부 정책들은 책임 없을까?
윤석열 정부의 국토교통부는 올해 1월에는 보잉 비행기의 잦은 사고로 인해 긴급 전수 조사를 벌였다고 해명했지만 실상은 국내에 고작 14대뿐인 737 맥스9 기종만 조사했을 뿐, 저가항공사 대부분을 지배하며 국내에 100대 넘게 운항 중인 737-800
국토부는 2022년 6월 항공사 이용 만족도 조사의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거기에서 제주항공은 안정성 부문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국토부는
무안 공항의 경우, 지방 공항들 중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률이 가장 높은 곳이다. 하지만 이에 대처하는 전담 직원 수가 적고 새떼 레이더 같은 대응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재발 방지와 예방을 위해서는 이번 참사의 원인과 책임에 대한 근본적인 규명도 필요하다.
2024년 12월 30일
노동자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