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 부산대 교수·학생들이 총장직선제를 지켜내다

    교육부의 구조조정을 저지하자

    [<노동자 연대>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191] 지난 8월 17일 고(故) 고현철 교수님이 총장직선제 폐지를 반대하며 투신해 숨졌다. 많은 학생들과 부산대를 비롯한 여러 대학의 교수님들이 방학 중인데도 추모대회에 참가했다. 많은 학생들에게 교수님을…

  • 나는 왜 노동자연대에 가입했는가

    오제하 <노동자 연대> 신문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184 소외와 방황 내가 태어나고 살아온 공간은 서울이란 도시의 작은 그늘이었다. 많은 추억과 단출한 성장기의 기억들이 그곳에 뿌리를 두고 있다. 어릴 적부터 나와…

  • 모두가 ‘잘’ 사는 세상

    이선희 <노동자 연대> 신문 기사 링크 http://wspaper.org/article/16183 나는 어려서부터 그 누구보다 ‘잘’ 살고 싶은 욕망이 컸다. 그런 나에게 어른들은 공부를 잘 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 대기업에 취직하면 ‘잘’ 사는 거라고…

  • [
    부산대
    부산대 총장직선제 고수하기로 합의

    지속될 교육부의 폐지 압력에 맞서 싸워야

    한태성 (노동자연대 부산대모임 회원) [노동자연대 기사 링크] : http://wspaper.org/article/16166 지난 8월 17일 고(故) 고현철 교수가 총장직선제 폐지를 반대하며 투신해 숨졌다. 그리고 고인의 희생으로 부산대는 전국 국립대 중 총장직선제를 유지하는 유일한 대학이…

  • [
    부산대
    학내 민주주의를 요구하며 투신하신 고(故) 고현철 교수를 추모하며

    총장직선제 폐지·국립대 구조조정 중단하라

    한태성 (노동자연대 부산대모임 회원) [노동자연대 온라인 기사 링크] http://wspaper.org/article/16157 8월 17일 부산대학교 한 교수가 총장직선제 폐지에 반발해 대학 본관 건물에서 투신해 숨졌다. 정부와 교육부는 국립대에 총장직선제 폐지를 강요해 왔다. 투신한 고현철 교수(국문과)는…

  • 사회주의와 인간본성

    최새론 [노동자연대 온라인 기사 링크] http://wspaper.org/article/16138 다음은 내가 최근 한 동아리 모임에서 ‘사회주의와 인간본성’을 주제로 발표한 내용을 <노동자 연대>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어 기고한 것이다. 전 본능은 믿지만 본성은 믿지 않습니다. 본성이라는…

  • [
    연세대

    노동자와 학생들이 악질 용역업체 KT텔레캅을 퇴출시키다

    오제하 (노동자연대 연세대 회원) [노동자연대 온라인 기사 링크] http://wspaper.org/article/16132 땡볕이 내리쬐던 7월 말, 연세대에서 기쁜 일이 있었다. 연세대 주차관리 임대 계약에서 KT텔레캅이 입찰을 스스로 포기한 것이다. KT텔레캅은 건국대, 영남대, 서울대, 심지어…

  • 김조광수-김승환 부부 동성결혼 인정 소송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라

    양효영 지난 6월 26일 미국 전역에서 동성결혼이 합법화된 이후 한국에서도 동성결혼 합법화 소송이 시작됐다. 2013년 9월에 공개결혼식을 올린 김조광수-김승환 부부는 서대문구청이 혼인신고를 받아들이지 않자 이를 불복하는 소송을 시작했다. 지난 7월…

  • 한진중공업 희망버스 운동 관련 재판-해고에 맞선 노동자들의 투쟁과 희망버스 운동은 정당했다

    한진중공업 희망버스 운동 관련 재판 해고에 맞선 노동자들의 투쟁과 희망버스 운동은 정당했다 이진화 지난 7월 9일에 한진중공업 4차 희망버스에 참여했다가 일반도로교통방해죄로 벌금형을 받아 법정 투쟁을 벌이고 있는 노동자연대 회원 이원웅…

  • 역대 최대 규모의 성소수자 자긍심 행진이 서울 도심을 무지개로 물들이다

      양효영 6월 28일, 성소수자들의 자긍심을 한껏 표현하고 성소수자 차별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자긍심 행진이 성공적으로 열렸다. 성소수자 자긍심 행진은 성소수자들의 저항운동에서 중요한 사건인 1969년 스톤월 항쟁을 기념하면서 시작됐다.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