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7일 시작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이 벌써 5개월이 됐다. 이 전쟁의 성격은 일찍부터 명약관화했다. 민간인 공격 등 하마스의 “테러”에 맞서 “정당방위”를 하고 있다는 이스라엘(과 미국)의 입장은 완전히 파산했다. 이스라엘은 자국에…
번지르르한 말과 달리, 정부의 빈약한 지원 때문에 늘봄학교는 시작부터 엉망이 됐다ⓒ출처 대통령실 3월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전국 2741개 초등학교에서 1학년생을 대상으로 늘봄학교가 시작됐다. 정부는 2학기부터 전체 6100여 개 초등학교의 모든…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집단 사직하고 파업에 나선 지 3주가 지나고 있다. 종합병원에서 수술과 검사 등이 지연되고, 응급실 기능이 축소돼 (뺑뺑이를 도는 등) 환자들이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전공의들에 대한 의사 면허…
한국에 온 지 6년 된 이집트인 난민이 난민의 열악한 처지, 난민의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법률의 부당성을 〈노동자 연대〉에 말한다. 한국 정부가 난민법을 만든 것은 값싼 노동력을 들여오기 위해서라고 봅니다. 다른…
[기획 연재] 팔레스타인, 저항, 혁명 ─ 해방을 향한 투쟁 ① 이스라엘 건국, 팔레스타인의 재앙 ② 팔레스타인인들의 저항이 시작되다 ③ 오슬로 협정 이후 ─ 신자유주의 팔레스타인 ④ 가자지구: 하마스의 부상 ⑤ 제국주의의 경비견 이스라엘 ⑥ 아랍…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공격이 세 달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이 인종 학살을 벌이고 있다며 이를 멈출 조처를 취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공격을 멈추긴커녕 전쟁에서 승리할 때까지 살육을 이어갈…
🚩 2.17 국제 행동의 날 대행진 팔레스타인인들과 연대를! 이스라엘은 인종 학살 멈춰라! 미국 정부도 학살 공범이다! 👉일시: 2월 17일(토) 오후 2시 👉장소: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 앞 (광화문역 4번 출구 인근,…
국제사법재판소는 이데올로기적 유용성을 유지하려고 남아공의 요청을 일부 수용했다ⓒ출처 국제사법재판소 지난해 10월 《뉴레프트 리뷰》에는 그 간행물의 가장 중요한 필자인 페리 앤더슨이 쓴 매우 시의적절한 글이 실렸다. 그 글은 국제법이 그것의 역사…
최근 팔레스타인 연대 집회에 출입국관리 공무원들이 와서 참가한 이주민·난민들을 사찰·감시하는 일이 감지되고 있다. 집회에 참가했다가 자신의 난민 인정 심사를 담당하는 출입국 공무원을 목격하고 며칠 후 갑자기 난민 심사 면접이 잡히는…
얼마 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조선로동당 전원회의와 최고인민회의에서 “대남 부문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선언했다. 남북 관계를 “동족 관계가 아닌 전쟁 중인 두 교전국 관계”로 규정한 것이다. 이로써 북한 관료의 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