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핵 폐수 투기 중단하라
    묻지마 방류 기시다, 괴담 처벌 윤석열

    핵 폐수 투기 중단하라

    8월 24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핵 폐수 방류를 개시했다. 그간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알프스ALPS라는 장비를 통해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거나 바다에 방류하면 방사성 물질이 희석될 수 있다 주장해왔다.…

  • 핵 폐수 동맹 반대한다
    [
    성명
    묻지마 방류 기시다, 괴담 처벌 윤석열

    핵 폐수 동맹 반대한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핵 폐수 방류를 8월 24일 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그간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알프스ALPS라는 장비를 통해 대부분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거나 바다에 방류하면 방사성 물질이 희석될 수 있다…

  • 고려대 병원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합니다!

    고려대 병원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합니다!

    고려대 병원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합니다! 고려대의료원(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노동자들이 열흘 넘게 파업하고 있다. 7월 13~14일 보건의료노조의 산별 파업 종료 후에도 계속 파업을 이어가는 것이다. 노동자들은 인력 충원, 임금 인상, 비정규직…

  • 동덕여대 학생들의 투쟁을 지지한다!
    [
    성명
    참변의 책임자 김명애 총장은 퇴진하라

    동덕여대 학생들의 투쟁을 지지한다!

    6월 7일 동덕여대에서 한 재학생이 안전 설비 미비로 인한 학내 사고로 사망하는 비극이 있었다. 이에 6월 12일 1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학교 측에 책임을 묻고 김명애 총장 퇴진 등을 요구하는 추모촛불시위를…

  • 등록금을 올려야 교육이 정상화된다는 자들이 비정상이다
    [
    노동자연대 청년학생그룹 서울시립대모임 성명
    등록금 인상 위한 ‘등록금 정상화 공론화 위원회’에 부쳐

    등록금을 올려야 교육이 정상화된다는 자들이 비정상이다

    6월 9일, ‘서울시립대 등록금 정상화 공론화 위원회’(이하 위원회) 2차 회의가 열린다. 학교 당국은 지난 5월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앞으로 매달 이 위원회 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한다. 이 위원회는 이름부터가 등록금…

  • [
    노동자연대 청년학생그룹 시립대 모임 성명
    5.24 전체학생총회 등록금 대응 논의를 앞두고

    서울시와 학교 당국의 등록금 인상 시도 반대하자

      5월 24일 정기 전체학생총회에서 등록금 인상에 대한 대응이 논의될 예정이다. 총학생회는 보고안건으로 ‘제10대 신임총장에 대한 학생요구안’을 제출했고 등록금 문제가 그 일부로서 담겨 있다. 여러 언론들이 시립대가 곧 등록금을 인상할…

  • 건설노동자 파업을 지지하자
    [
    성명
    고(故) 양회동 열사의 유언 “제발 윤석열 정권 무너트려 주십시오.”

    건설노동자 파업을 지지하자

    건설노동자 수만 명이 5월 16~17일 파업을 한다. 건설노조는 건설노조 탄압 중단, 강압수사 책임자 처벌, 윤석열 정권 퇴진을 파업 요구로 내걸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화물 노동자 파업 이후 “200일 전쟁”을…

  • 정부가 피해자를 전원•전액 구제하라
    [
    성명
    전세 사기는 정부가 멍석 깔아 준 ‘사회적 재난’이다

    정부가 피해자를 전원•전액 구제하라

    전세 사기 피해자가 목숨을 끊거나 사망하는 일이 이어지고 있다. 이루 말할 수 없는 답답함과 억울함으로 고통 받았을 고인들의 명복을 빈다. 이들은 모두 2030 청년으로 우리의 또래였다. 엄마에게 ‘2만 원만 빌려…

  • 기시다 방한 반대한다!
    [
    성명
    과거사 왜곡, 평화 위협

    기시다 방한 반대한다!

    일본 기시다 총리가 5월 7일 방한해 대통령 윤석열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기시다는 이번 방한이 윤석열의 방일에 대한 화답이자 “한일 관계 가속화”에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이들 간 화답과 관계는 과연 무엇일까? 3월…

  • 한미 정상회담 반대한다
    [
    성명
    동아시아와 한반도 불안정에 일조할

    한미 정상회담 반대한다

    4월 26일 한미 정상회담이 열린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미국 주도 국제 질서에 한국이 호응하고, 한미 동맹을 강화하려는 맥락에서 열리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의 이런 행보는 미중 갈등 격화에 일조하는 것으로, 한반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