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비게이션 건너 뛰기
연락처를 남겨 주세요! 주요 사회 쟁점에 대한 글과 영상 및 토론 모임, 집회 등 활동 소식을 담은 <주간 마주보기> 레터를 보내드립니다.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마르크스주의 ABC 청년학생 기고글

[서평]
《사회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서》

폴 풋, 핼 드레이퍼 지음|차승일 엮음|232쪽|12,000원|책갈피

한수진 (노동자연대 학생그룹 회원)

나 같은 대학생들은 조금이라도 더 ‘나은’ 대학에 가기 위해 치열한 입시경쟁을 버텼다. 대학 입학 후에도 학점 경쟁이라는 또 다른 경쟁에 뛰어들어야만 한다. 졸업 뒤의 취업 때문이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어떤 길로 나아가고 있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하기도 전에 사회가 원하는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 캠퍼스의 낭만, 자신만의 시간과 삶을 즐겨 보기도 전에 학생들은 취업을 위한 공부와 스펙 쌓기에 허덕이고 있다. 이에 문제의식을 느끼며, 사회에 대한 불만과 모순을 지적하는 학생들은 철없는 청년으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자본주의 체제는 평범한 사람들에게 너무 가혹하다. ‘돈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징징대는 사람들은 그만큼 충분한 돈이 없는 것이다.’ 하는 한 가수의 말처럼 정말로 돈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자본주의 체제는 10년째 위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같은 강대국들 사이의 증가하는 갈등은 세계를 더욱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 그럴수록 우리와 같은 평범한 사람들의 삶은 더욱 팍팍해져만 간다. 정치인들과 언론들은 사회문제의 책임을 평범한 사람들에게 떠넘긴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파시스트와 극우가 무슬림과 성소수자와 난민들을 악마화하며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영국의 제러미 코빈과 미국의 버니 샌더스 처럼 사회주의를 주장하는 정치인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에서도 ‘민주적 사회주의’를 말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사회주의에 대한 관심과 지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사회주의는 무엇일까? 그리고 사회주의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을 뜻하며 어떻게 실현 가능할까?

이 책은 위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정말 명쾌하고 쉽게 설명해준다.

1장에서는 마르크스, 엥겔스, 로자 룩셈부르크로 이어지는 사회주의 전통의 핵심 내용들을 압축적이고 쉬운 설명으로 만나 볼 수 있다. 각각의 인물들에 대해서 잘 모르더라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되어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2,3,4장은 혁명의 잔재를 쓸어버리고 등장한 스탈린의 소련, 소련 체제가 이식된 동유럽의 사회와 그에 맞선 대중 항쟁의 경험, 그리고 1980년대 영국 대처리즘 아래에서 커진 대중의 분노를 다룬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사회주의’가 역사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사람들에게 희망과 영감을, 때론 절망과 냉소를 가져다 줬는지 설명한다. 이런 구성은 독자들이 큰 역사의 흐름 속에서 사회주의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게 도와준다. 또 그 의미가 스탈린의 반혁명 속에서 얼마나 변질되고 곡해되었는지 한 눈에 보여준다.

이어지는 5장 사회주의의 기본원칙에 대한 내용과 6장에서 우리는 사회주의의 기본원칙을 지키지 못한 영국 노동당 정부가 어떻게 자멸하는지를 보고 반면교사 삼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록인 ‘현대의 고전: 사회주의의 두 가지 정신’까지 책의 구성 하나하나가 오늘날 한국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유효한 교훈과 관점을 제시한다.

“사회주의”를 자처하는 북한 정권과 맞닿아 있는 남한에서는 특히 불온한 사상으로 여겨지곤 한다. 그러나 대학가에 출몰하는 우파 단체 ‘트루스포럼’이 그 이름에 ‘트루스(진실)’을 붙였더라도 그들의 주장이 진실이 아니듯이, 사회주의의 정수인 노동계급의 자력 해방과 노동자 민주주의가 없는 ‘사회주의’는 사회주의와 반대되는 것이라 저자는 지적한다. “노동계급의 해방은 반드시 노동계급이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하는 원칙은 마르크스의 사회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사회주의의 진정한 의미를 둘러싼 논쟁은 현대에도 지속되고 있다. 북한과 중국이 현실의 사회주의 아닐까?, 진보 좌파 정당이 집권하면 사회주의로의 이행이 가능하지 않을까? 이런 질문들을 둘러싸고 말이다. 사회주의 사회의 특징이라고 여겨지는 요소들, (예를 들어 국유화)는 사회주의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고 자력으로 해방된 노동계급과 진정한 민주주의에 의존한다고 이 책의 저자는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다시 이 책을 추천하면서 덧붙이고 싶은 말은 사회주의를 둘러싼 온갖 논쟁은 현대에 새로이 생겨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책에서 소개된 소련과 동유럽의 역사, 영국 노동당과 그 안에서 노동당을 개혁하려 한 좌파들의 경험 속에서, 우리 시대에도 유의미한 통찰과 설명을, 우리 시대에도 벌어지는 사회주의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이 전하는 경험과 역사는 우리가 사회주의에 대한 온갖 왜곡된 생각들을 걷어 내고 진정한 사회주의의 의미를 찾는 데에 분명 도움을 줄 것이다. 그것이 차별과 착취로 점철된 이 체제가 아닌 대안을 고민하는 나 같은 학생들에게 실마리를 줄 것이라 생각한다.

마르크스주의로 세상보기 목록 마르크스주의 ABC 목록 청년학생 기고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