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을 비롯해 세계 도처에서 전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한반도에서도 전쟁 위기가 거듭됐죠. 전쟁을 반대하는 운동에 어떤 전략과 전망이 필요할까요? 민주당과 주요 좌파 단체들은 정상회담이나 평화협정 체결을 요구합니다. 국가 간 협상이나…
2년 전 중국이 신장위구르 지역에 노동수용소를 지어 위구르인들을 감금한다는 보도가 나오며 세계가 떠들썩했습니다.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하는 등 위구르 문제는 미∙중 갈등의 쟁점이 되기도 했죠. 미국과 서방 측의 인권 운운은…
발제: 김영익 (《제국주의론으로 본 동아시아와 한반도》 공저자) (2023. 5. 3)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윤석열은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가능성 시사, 대만해협에 관한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켰죠.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이에 더해, 한국에 미국…
금융 위기의 공포, 세계 곳곳의 갈등과 충돌을 보면서 ‘정말이지 세계가 왜 이러지?’ 생각하게 됩니다. 왜 경제 위기가 반복되고 강대국 간 전쟁 위험이 커지고 있는 걸까요? 세계가 야만으로 가는 것을 막으려면…
[embedyt] https://www.youtube.com/watch?v=fUyJGGzOX2o[/embedyt] 금융 위기의 공포, 세계 곳곳의 갈등과 충돌을 보면서 ‘정말이지 세계가 왜 이러지?’ 생각하게 됩니다. 왜 경제 위기가 반복되고 강대국 간 전쟁 위험이 커지고 있는 걸까요? 세계가 야만으로 가는…
발제: 이정구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객원연구원, 중국 경제 전공자) (2023. 4. 12) 미·중 간 대결이 치열해진 가운데 중국은 사우디-이란의 관계 개선을 중재하고, 러시아와 반미 전선을 강화하는 등 그 영향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발제: 강동훈 (〈노동자 연대〉 기자) SVB와 크레디스위스 부도에 이어, 독일 주요 은행인 도이체방크의 주가가 폭락하는 등 금융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도 거대한 민간 부채와 제2금융권의 부동산 대출 부실…
발제: 김영익 (《제국주의론으로 본 동아시아와 한반도》 공저자) 윤석열이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저버리고 미국·일본과 손잡자 규탄이 거셉니다. 이런 항의는 더 커져야 합니다. 그러나 민족주의가 친제국주의에 맞서는 최선의 무기일까요? 민족이란 무엇이고, 애국심은 자연스런…
발제: 김승주 (〈노동자 연대〉 기자, 《위안부 문제는 왜 해결되지 않을까》 공저자) 윤석열 정부가 일본의 강제동원 피해 배상 책임을 면제해 준 것에 분노가 큽니다. 민주당은 “굴욕 외교”라고 비판하고 많은 좌파들도 그렇게…
챗GPT 등장으로 인공지능 AI에 관한 기대와 관심이 한층 커졌습니다. AI가 리포트 과제뿐 아니라 신문 기사, 법안도 작성할 수 있다고 하고, 윤석열 정부는 AI 보조교사를 도입하겠다고 합니다. AI가 단순 작업을 뛰어넘어…